본문 바로가기

직장인2

직장인의 자기계발 : 직장 안과 직장 밖에서 역량 강화하기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가끔 여행관련 프로그램을 볼 때면 연예인들이 참 부럽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반인들은 오랜 시간을 들여 자금을 모으고 미리 시간을 계획해야만 할 수 있는 여행이란 행위에 대해, 그것을 하는 것 자체가 곧 업이 되고, 비용을 치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대가를 받을 수 있으니 어떤 면에서 보면 연예인은 행복한 직업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어느 직종에 종사를 하든 100% 만족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연예인은 다른 직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스로가 원해서 그 일을 하고 있는 이들의 비율이 높을 것이기에 직업에 대한 만족도 또한 타직군에 비해 높은 편이지 않을까하는 추측을 해보게 되는 것 같다. 반면, 현실 속 나와 같은 일반.. 자기계발 2024. 5. 27.
나의 가치를 높이자 : 직장보다 직업이 필요할 때, 직장의 의미 아침 6시에 퇴근하고 당일 9시까지 다시 출근을 했던 날이 있었다.강압적으로 시켜서라면 결코 하지 못했을 일이다. 전의 직장에선 업무상 일이 몰리는 특정 시즌이 있었고, 주어진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나는 나의 시간과 노력을 직장에 매몰시켰었다. 정당한 댓가인 야근수당을 단 일원도 받지 못한채 말이다.그렇게 스스로 열심히 댓가없은 업무에 임했을 때도 사실 나에겐 무언가 채워지지 못하는 허전함이 늘 존재하고 있었다.당신의 직업은 무엇인가? : 직장인에게 직업이 없는 현실 "직장"과 "직업"은 다른다. "직장"은 있어도  "직업"은 없을 수 있다. 「세바시의 인생질문」에서 김호 대표님(더랩에이치)의 강의를 접하며, "한대 맞은 것 같은 느낌"이란게 이런건가 싶었다.주어진, 말그대로 시키는 일을, 그저 성실을 .. 자기계발 2024.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