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 상품권, 온누리 디지털 상품권 실생활 사용 후기
예산을 세워서 지출관리를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작은 부분에서도 더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 결과 조금을 귀찮긴 하더라고, 할인율이 5%로 낮아졌더라도, 개인적으로는 그래도 이만한 것이 없다싶어 서울페이 광역 상품권을 구매하여 주지출 용도로 사용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얼마전 식당에서 지인분이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결재를 하는 모습을 보며, 온누리 상품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안내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전통시장법')에 따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의 판매를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전용 상품권입니다.
온누리 상품권에 대해 그동안에도 알고는 있었지만, 사용을 해야겠다 생각조차 하지않았던 이유는 사용방법에 대한 고정관념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온누리 상품권은 지류형 상품권으로 실물로 교환해서 시장에서만 사용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서울페이처럼 앱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카드형 상품권: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사용방법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앱에서 계좌 등록 후 금액을 충전해서 등록한 카드로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구매혜택 및 구매한도
상품권 구매의 10% 할인가로 충전가능하며, 최대 보유한도 금액은 200만원입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소비자 혜택
기존 보유한 카드를 등록해 카드결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며, 충전시 10%할인 가능하고, 카드 사용 실적(적립)은 반영 됩니다. 또한 전통시장의 경우 전통시장 소득공제 최대 40%가 적용됩니다.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가장 큰 장점이 바로 편리성 때문입니다.
서울페이를 사용할 때는 앱을 무조건 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카드만 등록해 놓으면, 자동으로 충전된 금액에서 지출처리가 되니, 사용이 정말 편리했습니다.
디지털 상품권 카드 등록 방법
앱의 홈 화면에서 "카드등록" 선택 후 나오는 안내에 따라 평소 사용하던 신용 및 체크카드를 등록할 수 있으며, 본인명의의 카드 최대 10개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등록 가능한 카드사는 신한, 현대, 삼성, 농협, 하나, 비씨*, 국민**, 롯데입니다.
*BC 이용가능 카드(14곳): 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우체국, 광주
**KB이용가능 카드(2곳): 국민, 전북
충전금액은 미사용 충전 금액에 한하여 구매 후 7일 이내에만 취소가 가능하고, 충전금액과 일반카드의 병행 경제는 불가합니다.
본 블로그의 글은 업체의 제휴없이 전적으로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한 글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공부, 강의를 들어야 할까? 부동산 강의에 대한 생각 (0) | 2024.07.16 |
---|---|
예산 설정 : 지출 통제를 위하여! (0) | 2024.06.09 |
월말결산 : 꾸준한 재무상황 파악하기 (0) | 2024.06.08 |
직장인의 자기계발, 시작은 이력서에서 찾자. (0) | 2024.06.05 |
적금, 마이너스를 저축하고 있는 중입니다. (0) | 2024.06.02 |
댓글